어멍똘농장x라프라 - 상큼함의 진수, 레몬

박다솔 기자 / 2024-09-26 10:50:00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입 안에서 침이 고이는 과일 ‘레몬’. 샛노란 껍질을 벗기면 드러나는 과육은 상큼한 맛 덕에 다 양한 디저트에 자주 등장하는 단골 손님이죠. 이러한 레몬 을 제주도에서도 재배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번 3월호 상생의 장터에서는 건강한 레몬을 제대로 키워내 는 제주도의 ‘어멍똘농장’과 달콤한 하루를 선물하는 ‘라프 라’가 함께 만든 레몬 디저트를 소개합니다.

제주가 만들어 낸 건강한 레몬, 어멍똘농장 
추위는 한풀 꺾였지만, 여전히 차가운 바람에 몸이 움츠러드는 3 월. 이럴 때일수록 새콤달콤한 유자차, 귤 같은 상큼한 시트러스 계열의 과일에 나도 모르게 손이 간다. 아마 그중 최고는 껍질을 벗기자마자 상큼한 향기가 주위를 맴도는 ‘레몬’이 아닐까 한다. 레몬은 외국에서만 들여온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을 텐데 제주 도에서도 훌륭한 품질의 레몬을 재배하고 있다. 1~4월에 제철을 맞이한 제주 레몬은 비타민C와 구연산이 많아 강한 신맛을 띤다. 덕분에 면역력 강화와 감기 예방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노화 방지 까지 책임지고 있다. 이렇듯 상큼함 속 영양까지 가득 담고 있는 레몬을 정성껏 키워내는 농장이 있어 찾아갔다. 바로 제주도에 위 치한 ‘어멍똘농장’이다.

어멍똘농장의 강기욱 농부는 5년 전 편찮은 아버지가 건강에 좋 은 레몬 농사를 권유한 이래로 부모님과 함께 꾸준히 레몬 농사를 짓고 있다. 어멍똘농장은 제주도에 위치하는데, “레몬 나무가 추 위에 약해 1년 내내 온화한 기후를 가진 제주도에서 특히 재배하 기 좋다”는 강 농부다. 제주도의 화산토, 적절한 일교차, 적은 강 수량 모두 레몬을 재배하기에는 최적의 장소인 셈이다. 제주도에 서 재배되는 레몬 품종은 ‘리스본’과 ‘유레카’가 있으며 어멍똘농 장에서는 이 두 종을 모두 재배하고 있다. 국내 유통 레몬의 90% 이상은 수입산인데, 수입산과는 달리 어멍똘농장 레몬은 산지에 서 이동 거리가 짧으므로 왁스 코팅 보존제 처리를 전혀 하지 않 는다. 때문에 더욱 더 신선하고 건강한, 갓 수확한 레몬을 만나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으로 다가온다.

인터넷에 ‘어멍똘농장’를 검색해 홈페이지, 스마트 스토어를 통해 구매하거나 직접 전 화, 문자를 통해 주문할 수 있다.

레몬 나무는 내한성이 약해 온도 조절이 생명이라는 강기욱 농부. “레몬 나무가 동해를 입을 경우 나무가 그대로 고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온도 관리가 더없이 중요하고, 물을 수시로 자주 주어야 하 죠.” 레몬은 11월의 그린 레몬부터 시작해서 3월경까지 수확하며, 여느 과일을 한번에 전체 수확 후 판매하는 것과는 달리 계속해서 수확한다. 봄철인 3~4월이 되면 대부분의 레몬꽃이 개화하는데 그 이후에도 조금씩 꽃이 피고, 열매가 맺힌다. 레몬 나무는 생육 에 많은 양의 비료를 필요로 하는 다비성 작물로, 수시로 시비가 필요하다. 1년 내내 영양분을 공급해야 하는 만큼 손이 많이 가지 만 튼실한 레몬을 재배할 생각에 소홀히 할 수 없다. 

강기욱 농부

아직 제주도에서 레몬을 재배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이들이 더 많아 판로가 확보되지 않아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강기욱 농부. 그럼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지역 기술센터에서 GCM 등 다양한 미 생물을 공급받아 연중 살포하고, 유기질 비료를 사용해 레몬 나무 의 영양 관리에 특히 힘쓰고 있다. 덕분에 어멍똘농장의 레몬은 쨍 한 빛깔에 성인 남성 주먹보다도 큰 크기를 자랑하기도 한다. 레몬 이 너무 신선하고 좋다는 후기를 보면 그것만큼 보람된 일이 없어 제주 레몬을 더 열심히 홍보하기로 다짐한다는 강기욱 농부다.


언제나 지금처럼 정직하게 최선을 다해 농사짓고, 한 해 동안 정성 을 들인 그 마음을 그대로 담아 귀한 농산물을 전하겠다는 어멍똘 농장. 농사경력 50년의 부모님과 함께 앞으로도 꾸준히 레몬을 비 롯해 청귤, 한라봉, 레드향 등 매년 다채로운 과일을 재배할 예정 이다. “저희가 재배한 레몬이 지금처럼 많은 이들에게 좋은 과일과 식재료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그것이 제가 꿈꾸는 미래입니다.” 

어멍똘농장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월평동 643
연락처  010-2069-7180

홈페이지 www.jejumom_ddol.com



월간 베이커리 뉴스 / 박다솔 기자 bbbogiii24@gmail.com

[저작권자ⓒ 월간 베이커리 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다솔 기자

박다솔 / 편집부 기자

월간 베이커리 뉴스

뉴스댓글 >

SNS